전체 글 293

아파트 분양원가에 대해

예전에 TV에서 어느 중소건설사에 재직중이신분도 이렇게 얘기했던것 같은데 그분이 쓰신 글인지는 모름 하여튼 너무 비싸며 너무 많이 오르고 있음.. 분양원가 공개를 해보면 정말 가관일듯.. --- 저는 아파트건설만 10여년간 해온 건축기술자입니다. 먼저 결론을 이야기 한다면 돈있는 누군가는 봐줄만하다고 주장하지만 우리나라 아파트 가격은 진짜 문제가 많다는 사실입니다. 현재 단독주택도 아니고 같은 대지안에서 용적률이 400~600%를 넘어가는 고층의 아파트가 평당 1000만원 2000만원을 넘어 가고 있는것이 기본입니다. 외국 선진국의 경우 단독이 비싸서 문제가 되지 공동주택이 비싼경우는 없습니다. 우리나라만의 특별한 현상이죠! 기술자로서 황당한 비애는 수도권지역의 재건축아파트의 경우 30평대 아파트1채가 ..

나름대로 유용 2005.08.16

jw 매너웨어를 후원

jwbrowser를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항상 빠른 버그패치와 유용한 기능들이 많아서 아주 좋아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 되었다. 특히 jwbrowser, acroedit등은 국산 프리웨어로서 강추다! 예전부터 jw홈페이지에 가보면 후원하기 메뉴가 있었고 매번 다음에 해야지 하면서도 못했던게 사실인데, 오늘은 광복 60주년도 되고 해서 적지만 1만원을 후원했다.(광복절과 후원은 별 상관없다 ㅋㅋ) 더 좋은 jw매너웨어가 탄생하길~

끄적거림 2005.08.15

맑은 하늘

하늘이 맑아서 오랫만에 디카를 꺼내 찍어봤다.. (8월 4일 점심쯤) 실제로 보면 정말 푸른데, 사진의 하늘색은 영 시원찮다.. 나의 내공 부족도 이유겠지만 내 디카의 한계점이 오는건가? 다른 사람들이 찍은 사진(채도와 화소가 높은 것)을 보면 디카를 업글 하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눈만 높아져서 -_-; 아무튼 약간의 작업으로 그나마 원본보다 나아 보인다 ㅋㅋ 어떻게 보면 너무 과장된것 처럼 보이기도 하네..

즐겨/사진 2005.08.06

일회용 기저귀를 재활용한다.

EBS '하나뿐인 지구'라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봤는데, 내용은 네덜란드의 어느 기업에서 일회용 기저귀를 재활용해 펄프와 플라스틱을 추출하고 이를 되팔아 수익을 낸다는 것이었다. 또한 기저귀의 수거는 무료로 해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도 쓰레기를 절감할 수 있어서 호응도가 높다는 것인데... 기저귀 재활용의 기술은 기저귀를 각각의 재료로 분리해내는게 특허라고 함. 아무튼 매립되거나 그냥 소각되는 기저귀를 재활용해서 수익을 낸다는 사실은 놀랍다. 사실 재활용이 되는건 많겠지만 재활용 하는데 처리비용이 더 많이 든다면 재활용이 가능하더라고 그것은 확산되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이건 좀 뭐하지만 기저귀 외 여자들이 그날에 쓰는 그것도 재활용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국내 기업들도 기저귀 재활용..

나름대로 유용 2005.08.02

MIT 박사가 한국 공대생들에게 쓴 편지

저는 6년전 MIT에 유학와서 박사학위를 받고 지금은 미국에서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처음 1년 이 곳에서 공부할때 저는 제가 한국에서 대학교육을 받은데 약간의 자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주위의 많은 한국 유학생들이 서울대 과 수석 또는 서울대 전체 수석도 있고 한국 대학원생의 80% 이상이 서울대 출신이니까 미국 학생들을 바라 보면서 그래 너희가 얼마나 잘났나 한번 해보자라는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한국에서 하던 대로 이곳에서도 한국 학생들이 시험은 아주 잘 보는 편입니다. 특히 한국 중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수학의 수준이 미국의 그것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공대생들로서는 그 덕을 많이 보는 편이죠. 시험 성적으로 치자면 한국유학생들은 상당히 상위권에 속합니다. 물론 그 와중에 한국 유학생들 사이에서 족..

나름대로 유용 2005.08.02

기억력을 향상 시키는 법

"이번 기말고사는 주관식 문제 30%가 출제된다. 모두 열심히 공부하여 좋은 성적 내기를 바란다." 이 같은 선생님의 발표를 듣고 기뻐할 학생은 아마 거의 없을 것입니다. 사실 학교에서 출제되는 주관식 문제의 대부분은 단순단답형이 주를 이루며 난이도 또한 객관식보다 낮습니다. 그런데도 학생들이 객관식을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객관식은 백지로 답안지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신의 무식함을 감출 수 있습니다.(위장 효과) 둘째, 아는 내용이 전혀 없더라도 확률상 20%는 정답을 맞힐 수 있습니다.(부수입 효과) 셋째, 객관식은 보기가 주어지기 때문에 단서를 찾기 쉽습니다.(실마리 효과) 이유랍시고 세 가지를 들었습니다만, '위장 효과, 부수입 효과'는 우스개 소리이고, 주된 이유..

나름대로 유용 2005.07.30